다음 주 월요일 1월 20일은 절기로 대한 (大寒) 이 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절기 중 소한 (小寒) , 대한 (大寒) 은추위의 대표적인 절기이고 계절의 변화가 있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 겨울의 절기 : 소한 ,대한 ❄️♨
이 두 절기는 농사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자연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 소한 (小寒)의 정의
소한(小寒)은 24 절기 가운데 절기로 음력 12월에 해당되며 양력으로는 1월 5일, 6일경으로 해당되며, 태양이 황경(黃經)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한 (小寒) 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이다. '작은 추위'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겨울철이 본격적으로 깊어지는 시점으로, 날씨가 더욱 추워지는 때입니다.
절기상으로는 대한에 더 추워야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이 소한 (小寒) 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소한에 정초한파(正初寒波)라 불리는 강추위가 몰려와 1년 중 가장 춥다.
소한(小寒) 추위를 이겨냄으로써 어떤 역경도 감내하고자 했던 이유로 ‘소한 (小寒) 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라는 속담이 생기기도 했다.
기후와 특징 : 소한(小寒) 이 지나면 본격적인 겨울철에 접어들며, 기온이 낮아지고 눈이 자주 내리기 시작합니다.
이 기간 동안에는 특히 건강 관리가 중요하며, 따뜻한 음식과 차가 도움이 됩니다.
농업에서는 이 시기에 겨울농사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대한(大寒)의 정의
대한(大寒) 은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절기 가운데(음력) 1월 20일경에 해당하며 음력으로는 12월이고, 태양의 황경은 약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원래 절기상으로는 대한이 가장 추워야하지만 그것은 중국 기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얼음, 대한에 녹는다’는 말처럼 소한 (小寒) 보다 덜 춥다. '큰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겨울의 절정으로, 가장 추운 시기입니다.
기후와 특징 : 대한 (大寒) 이 지나면 기온이 극도로 낮아지며, 눈과 얼음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 시기는 농사 활동이 거의 없고, 겨울철의 풍요로운 식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요리를 즐기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특히, 이때는 동지나 설 등의 명절이 있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집니다.
❄️♨ 소한 (小寒) 과 대한 (大寒)의 문화
소한 (小寒)과 대한 (大寒) 은 단순히 기후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 속에서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한에는 '소한 (小寒)에 찌개를 끓여 먹는다'는 속담이 있으며, 대한에는 '대한 (大寒)에 얼음이 얼어야 봄이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각각의 절기가 가져오는 자연의 변화와 그에 따른 생활습관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소한 (小寒) 부터 대한 (大寒)까지 15일간을 5일씩 3 후(三候)로 세분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고 중후(中候)에는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고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고 기술했다.
이것은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우리나라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동양에서는 겨울을 매듭짓는 절후로 보아, 대한의 마지막 날을 절 분(節分)이라 하여 계절적으로 연말일(年末日)로 여겼다.
풍속에서는 이 날 밤을 해넘이라 하여, 콩을 방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새해를 맞는 풍습이 있다.
![]() |
![]() |
![]() |
길거리에서 먹는 겨울의 풍경에 별미로 먹는 우리의 간식들입니다.
❄️♨ 소한 (小寒) 과 대한의 민속놀이와 풍습 ❄️♨
- 겨울철 먹거리 : 소한, 대한 즈음에는 겨울철의 제철 음식인 무와 배추 등을 활용한 김장김치가 많이 소비됩니다.'소한에 찌개를 끓여 먹는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따뜻한 찌개를 끓여 가족과 함께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또한, 고구마, 밤, 대추와 같은 겨울철 특산물을 즐기는 풍습도 있습니다. 식혜, 숭늉, 곡물죽 등이 있습니다. 대한은 동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이 있으며, 이는 대한에도 이어져 겨울철의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팥죽을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대에는 발전하여 붕어빵, 군고구마,군밤 등이 있습니다.
- 민속놀이 : 소한, 대한에는 날씨가 극도로 추워져 얼음이 얼게 됩니다. 이때에는 썰매나 얼음낚시와 같은 놀이를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한강이나 호수에서 얼음 위에서 즐기는 놀이가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주로 아이들이 참여하는 놀이는 겨울철 눈을 활용한 놀이로, 눈사람 만들기나 눈싸움, 썰매 타기, 스케이트 타기 등이 포함됩니다.
- 세배와 명절 : 대한은 설을 앞둔 시기이기도 하여, 가족과 친지들에게 세배를 하며 새해 인사를 나누는 풍습도 있습니다. 이 시기에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고, 가족과 함께 명절을 기념하는 활동이 많습니다.
![]() |
![]() |
![]() |
우리의 민속놀이는 대대로 내려오는 놀이와 운동이고 추억이 되어서 대대손손 전해지고 있다.
❄️♨ 소한 (小寒),대한의 추위와 건강 ❄️♨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의 추위에 건강을 조심해야 할 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체온 유지
따뜻한 옷 착용 : 외출 시 여러 겹의 옷을 입어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손과 발, 귀와 같은 부위는 쉽게 차가워지므로 따뜻한 장갑, 양말, 모자를 착용해야 합니다.
온열 제품 이용 : 전기담요나 핫팩 등을 활용해 실내에서도 체온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2. 면역력 강화
영양 섭취 :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귤, 키위 등)과 면역력에 좋은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여 면역력을 강화합니다.
수분 섭취 : 겨울철에도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뜻한 차나 국물 요리를 통해 수분을 보충하세요.
3. 적절한 운동
실내 운동 : 추운 날씨로 인해 외출이 어렵더라도 실내에서 스트레칭이나 요가와 같은 가벼운 운동을 통해 혈액 순환을 도와줍니다.
걷기 : 날씨가 좋은 날에는 가벼운 산책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4. 피부 관리
보습 : 추운 날씨에는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를 보호합니다. 특히, 손과 얼굴은 외출 후 반드시 보습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 : 겨울철에도 자외선이 존재하므로, 외출 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감기 예방
손 씻기 :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사람 많은 곳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감기와 독감을 예방합니다.
충분한 수면 :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겨울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소한 (小寒),대한의 겨울철 운동 ❄️♨
겨울철 운동할 때 조심할 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적절한 복장
레이어링 : 여러 겹의 옷을 입어 체온을 유지하고, 운동 중 땀을 흘리면 쉽게 벗을 수 있도록 합니다.
방한 용품 : 모자, 장갑, 목도리 등을 착용하여 손과 귀, 목을 보호합니다. 특히, 손과 발은 쉽게 차가워지므로 따뜻한 장갑과 양말을 착용하세요.
2. 충분한 준비 운동
스트레칭 : 겨울철에는 근육이 경직되기 쉬우므로, 반드시 충분한 스트레칭과 준비 운동을 통해 부상을 예방합니다.
워밍업 : 가벼운 유산소 운동으로 몸을 데운 후 본 운동을 시작합니다.
3. 미끄러운 바닥 주의
눈과 얼음 조심 : 눈이나 얼음이 있는 곳에서는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눈이 오거나 빙판길이면 운전조심, 길거리를 걸을 때 손을 주머니에 넣고 거리를 걷지 마시고, 안전한 거리 공간을 선택하여 낙상에 주의해야 합니다.
적절한 신발 :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운동화를 착용하여 안정성을 높입니다.
4. 수분 섭취 및 운동시간 후 정리
충분한 수분 보충 : 겨울철에도 수분이 중요합니다. 운동 전후에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 상태를 예방합니다.
적절한 운동 시간 : 온도가 높은 시간대 선택하고, 아침이나 저녁의 기온이 낮은 시간대보다는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간대를 선택하여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 운동 고려 : 혹한이 지속될 경우 실내 운동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따뜻한 음료 섭취 : 운동 후 따뜻한 차나 음료를 마셔 체온을 높이고, 몸의 긴장을 풀어줍니다. 운동 후에는 반드시 쿨다운을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 순환을 도와줍니다.
5. 개인의 건강 상태 고려
체력과 건강 상태 점검 : 자신의 체력과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합니다. 무리한 운동은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질병 예방 : 감기나 독감 등의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몸이 아프거나 피로할 때는 운동을 피합니다.
❄️♨ 소한 (小寒), 대한 (大寒) 마무리 ❄️♨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은 겨울의 절정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이 절기를 통해 자연의 변화를 느끼고, 우리의 전통문화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겨울철이 깊어지면서 독감과 코로나19의 재발 위험이 높아지니, 충분한휴식으로 면역력을 높여서 100세시대를 위해 건강을 챙기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따뜻한 차 한 잔과 함께,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가정의 따뜻한 온기로 겨울의 정취를 만끽해 보세요.!
'정보 지식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의 시작 입춘, 첫 월요일 (4) | 2025.02.02 |
---|---|
설날의 유래와 음력설이 민족명절로 자리 잡은 이유 (1) | 2025.01.26 |
고향 동생 친구와의 특별한 유부 초밥 식사 (4) | 2025.01.17 |
동지(冬至)~12월 마지막 절기 (3) | 2024.12.09 |
뜨거운 커피 ☕️ 차가운 커피 중에서 건강에 더 좋은 커피는? (2) | 2024.12.06 |